Permacrisis 뜻, 활용법, 실용 예문

📖 단어장

Permacrisis

/ˈpɜːrməkraɪsɪs/
(퍼머크라이시스)
명사

지속적인 위기 상태, 영구적 위기

💡 포인트

Permacrisis는 2022년 옥스퍼드 사전의 올해의 단어로 선정된 신조어로, ‘permanent(영구적)’‘crisis(위기)’의 합성어입니다.
코로나 팬데믹, 기후변화, 경제불안, 지정학적 갈등 등이 중첩되며 나타나는 장기화된 복합 위기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특히 ‘polycrisis(다중위기)’와 함께 최근 글로벌 이슈를 설명하는 핵심 용어로 자리잡았으며, 정치·경제·사회 분야에서 빈번히 등장합니다.

🎵 들어보기


Permacrisis 🔊

📝 실용예문

“The world seems stuck in a permacrisis with no clear solutions to multiple global challenges.”

세계는 여러 글로벌 과제에 대한 명확한 해결책 없이 지속적인 위기 상태에 갇힌 것 같다.

“Economists warn that we’re entering an era of permacrisis where instability becomes the new normal.”

경제학자들은 불안정성이 새로운 표준이 되는 지속적 위기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고 경고한다.

“The permacrisis mindset is affecting how businesses plan for the future.”

지속적 위기에 대한 사고방식이 기업들의 미래 계획 수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Young generations feel exhausted by the constant state of permacrisis they’ve grown up with.”

젊은 세대들은 자신들이 자라온 지속적 위기 상태로 인해 지쳐있다.

“Navigating through this permacrisis requires resilience and adaptive strategies.”

이 지속적 위기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회복력과 적응적 전략이 필요하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