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arshoring 뜻, 활용법, 실용 예문

📖 단어장

Nearshoring

/ˈnɪərˌʃɔːrɪŋ/
(니어쇼어링)
명사

인접 국가로 생산시설 이전, 근해 아웃소싱

💡 포인트

Nearshoring은 기업이 생산시설을 지리적·문화적으로 가까운 국가로 이전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입니다.
‘near(가까운)’과 ‘offshoring(해외이전)’의 합성어로, 원가절감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물류비용 감소, 시간대 유사성, 문화적 이해도 향상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공급망 안정화 수단으로 주목받으며, 미국 기업의 멕시코 이전, 유럽 기업의 동유럽 진출 등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 들어보기


Nearshoring 🔊

📝 실용예문

“Many US companies are adopting nearshoring strategies by moving manufacturing to Mexico instead of Asia.”

많은 미국 기업들이 아시아 대신 멕시코로 생산시설을 옮기는 니어쇼어링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Nearshoring can reduce shipping costs and lead times while maintaining competitive labor costs.”

니어쇼어링은 경쟁력 있는 노동비용을 유지하면서도 운송비와 리드타임을 줄일 수 있다.

“The pandemic accelerated the trend of nearshoring as companies sought to diversify their supply chains.”

팬데믹으로 기업들이 공급망 다각화를 모색하면서 니어쇼어링 추세가 가속화되었다.

“German automakers practice nearshoring by establishing plants in Eastern European countries.”

독일 자동차 제조사들은 동유럽 국가에 공장을 설립하며 니어쇼어링을 실행하고 있다.

“When considering nearshoring, companies evaluate factors like political stability and infrastructure quality.”

니어쇼어링을 고려할 때 기업들은 정치적 안정성과 인프라 품질 같은 요소들을 평가한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