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 sovereignty 뜻, 활용법, 실용 예문

📖 단어장

Food Sovereignty

/fuːd ˈsɒv.rɪn.ti/
(푸드 소브린티)
명사구

식량 주권, 식량 자주권

💡 포인트

Food sovereignty는 1996년 비아 캄페시나(La Via Campesina) 농민운동에서 처음 제창된 개념으로, 국가와 지역사회가 식량 생산·유통·소비를 자주적으로 결정할 권리를 의미합니다.
단순한 식량 안보(food security)를 넘어, 농업 정책 주권지속가능한 식량 시스템을 포함합니다.
신자유주의적 농업 정책에 대한 대안으로, 소농 중심의 생태농업과 지역 식량 체계 강조가 특징입니다. UN에서는 2018년 ‘농민권리 선언’을 통해 공식 인정했습니다.

🎵 들어보기


Food sovereignty 🔊

📝 실용예문

“Indigenous communities are leading the global movement for food sovereignty by reviving traditional farming practices.”

원주민 공동체들은 전통 농업 방식을 부활시킴으로써 글로벌 식량 주권 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Achieving food sovereignty requires protecting small-scale farmers from corporate land grabs.”

식량 주권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토지 점유로부터 소규모 농민을 보호해야 한다.

“The government’s new agricultural policy prioritizes food sovereignty over export-oriented production.”

정부의 새로운 농업 정책은 수출 중심 생산보다 식량 주권을 우선시한다.

“Urban gardening initiatives contribute to local food sovereignty by reducing dependency on imported goods.”

도시 정원 프로젝트는 수입품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 지역 식량 주권에 기여한다.

Food sovereignty movements emphasize the right to define one’s own food and agriculture systems.”

식량 주권 운동은 자신의 식량 및 농업 시스템을 정의할 권리를 강조한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