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tic Council 뜻, 활용법, 실용 예문

📖 단어장

Arctic Council

/ˈɑːrktɪk ˈkaʊnsəl/
(아크틱 카운슬)
명사구

북극 이사회, 북극권 국가 간 협의체

💡 포인트

Arctic Council은 1996년 설립된 북극권 8개국(미국, 캐나다, 러시아, 노르웨, 덴마크, 아이슬란드, 스웨덴, 핀란드)이 참여하는 정부간 포럼입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북극 해빙, 원주민 권리 보호, 지속가능한 개발 등 북극 지역의 환경·사회적 이슈를 다룹니다.
결정권은 없지만 정책 권고를 통해 국제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원주민 단체들이 ‘영구 참관인’ 자격으로 참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Arctic governance(북극 거버넌스)’, ‘Indigenous peoples(원주민)’, ‘Climate change adaptation(기후변화 적응)’ 등과 함께 자주 언급됩니다.

🎵 들어보기


Arctic Council 🔊

📝 실용예문

“The Arctic Council plays a crucial role in addressing climate change impacts in the polar region.”

북극 이사회는 극지방의 기후변화 영향 대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Russia currently chairs the Arctic Council, but its activities are limited due to geopolitical tensions.”

러시아가 현재 북극 이사회 의장국이지만, 지정학적 긴장으로 활동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Indigenous groups have advisory status in the Arctic Council to protect their traditional livelihoods.”

원주민 집단은 전통 생활 방식을 보호하기 위해 북극 이사회에서 자문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The Arctic Council‘s scientific reports influence global environmental policies.”

북극 이사회의 과학 보고서는 전 세계 환경 정책에 영향을 미칩니다.

“South Korea gained observer status in the Arctic Council in 2013 to participate in polar research.”

한국은 2013년 북극 이사회 옵서버 지위를 얻어 극지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