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ctionism 뜻, 활용법, 실용 예문

📖 단어장

Protectionism

/prəˈtek.ʃən.ɪ.zəm/
(프러텍션니즘)
명사

보호무역주의, 국내 산업 보호 정책

💡 포인트

Protectionism은 국가가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량을 제한함으로써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경제 정책입니다.
‘protect(보호하다)’와 ‘-ism(주의)’의 합성어로, 19세기 산업혁명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자국 산업을 성장시키고 일자리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지만, 소비자 선택권 축소와 무역 전쟁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trade barrier(무역 장벽)’, ‘import quota(수입 할당량)’ 등과 함께 자주 쓰이는 용어입니다.

🎵 들어보기


Protectionism 🔊

📝 실용예문

“The government’s protectionism policies have led to higher prices for imported goods.”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으로 수입품 가격이 상승했다.

“Many economists argue that protectionism ultimately harms the domestic economy in the long run.”

많은 경제학자들이 보호무역주의가 장기적으로는 국내 경제에 해를 끼친다고 주장한다.

“The steel industry has benefited from protectionism through high tariffs on foreign competitors.”

철강 산업은 외국 경쟁사에 대한 높은 관세를 통해 보호무역주의의 혜택을 받았다.

“Critics say that protectionism often leads to trade wars that hurt all parties involved.”

비평가들은 보호무역주의가 종종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무역 전쟁으로 이어진다고 말한다.

“While protectionism may protect jobs in the short term, it can make industries less competitive globally.”

보호무역주의는 단기적으로는 일자리를 보호할 수 있지만,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