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 economy 뜻, 활용법, 실용 예문

📖 단어장

Blue economy

/bluː ɪˈkɒnəmi/
(블루 이코노미)
명사구

지속 가능한 해양 경제, 해양 자원을 보호하며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

💡 포인트

Blue economy해양 생태계 보호와 경제적 발전의 조화를 추구하는 개념입니다.
2012년 리우+20 지속가능발전회의에서 공식 도입되었으며, 해양 자원을 지속 가능하게 활용하면서도 해양 오염을 최소화하는 경제 모델을 의미합니다.
해양 관광, 청정에너지 개발, 지속 가능한 어업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전 세계적으로 약 3조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 들어보기


Blue economy 🔊

📝 실용예문

“The government is investing heavily in blue economy initiatives to promote sustainable ocean resource management.”

정부는 지속 가능한 해양 자원 관리를 촉진하기 위해 블루 이코노미 계획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다.

“Coastal communities benefit from blue economy projects that create jobs while protecting marine ecosystems.”

해안 지역 사회는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면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블루 이코노미 프로젝트로 혜택을 받고 있다.

“Renewable energy from offshore wind farms is a key component of the blue economy.”

해상 풍력 발전소의 재생 에너지는 블루 이코노미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Sustainable fishing practices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a healthy blue economy.”

지속 가능한 어업 관행은 건강한 블루 이코노미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The blue economy could generate over 12 million jobs globally by 2030, according to recent studies.”

최근 연구에 따르면 블루 이코노미는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1,20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위로 스크롤